심리학
-
법정 신경과학과 범죄 행동심리학 2024. 3. 30. 00:12
법정 신경과학으로 살펴보는 범죄 행동 범죄 행동의 원인을 이해하는데 법정 신경과학이 기여한 바가 크다. 신경 생물학적 측면이 번죄를 저지르는 사람을 파악하고, 가능하다면 예측하는 데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범죄 행동을 야기하는 태아기, 분만기, 출산 후 그리고 기타 발달력에서의 위험 요인들을 살펴보고 미래 범죄에 어떻게 영향을 끼치는지 설명하고 있다. 발달적 위험 요인과 범죄 1. 태아기 요인 태아기 요인은 태아 발달 과정에서의 기형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여겨지는 가벼운 신체장애로 휘어진 새끼손가락, 유인원 손금, 처진 귀 또는 혀갈림증 등이 이에 포함된다. 이러한 경미한 신체 이상들은 유전적 기반에 의한 것일 수도 있지만 산소결핍, 출혈 또는 감염에 의해서 유발될 ..
-
범죄와 심리학적 이론심리학 2024. 3. 29. 15:22
범죄와 심리학적 이론 심리학적 이론은 특정 사람들이 왜 범죄자가 되는지를 심리적, 개인차, 가정, 상황적 요인을 바탕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1. 애착이론 (Bowlby) Bowlby는 아동과 일차적 양육자 사이 애착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특히 생애 첫 5년 동안 양육자와 지속적이고 따듯하며 애정 어린 관계를 맺는 것이 정신건강에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만약 이 시기에 아동이 장기간의 모성 박탈을 경험한다면 이것은 아동의 인생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높고 애정 결핍 성격을 가지게 되거나 비행 소년이 될 가능성도 높다고 주장했다. 전향적 종단연구에서는 부모로부터 분리된 아동들이 건강한 가정의 아동들에 비해 범죄를 저지를 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붕괴된 가정에 범죄 인자가 있다는 것..
-
범죄와 발달적 이론심리학 2024. 3. 29. 00:06
범죄와 발달적 이론 발달과 범죄 사이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전통적인 범죄학 이론에서는 범행의 원인을 개인 간의 차이에서 찾으려고 했다. 예를 들면 하류층 소년들이 상류층 소년들보다 범죄를 더 많이 저지르는 이유와 같은 방식으로 설명하려 했다. 하지만 발달과 생애과정 범죄학에서는 전 생애에 걸쳐 개인 내 변화에서 범죄의 원인을 찾고 있다. 주로 연구하는 주제로는 생애과정의 범행과 반사회적 행동, 다양한 연령대에서의 위험과 보호 요인의 영향 그리고 발달 과정에 대한 생애사건의 영향 등이 있다. 다음은 범죄에 대한 네 개의 발달적 이론에 대해 자세히 살펴본다. 1. 발달적 성향이론 (Lahey와 Waldman) 발달적 성향이론에서는 성인 생애사건에 초점을 맞추지 않았고 아동기와 청소..
-
정신 장애와 범죄의 연관성 이해심리학 2024. 3. 27. 18:13
정신장애가 있는 범죄자 범죄자 중에서 정신장애의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다는 점에서 정신 장애와 범죄 행위 사이에 관계가 있다고 보고하는 연구가 많이 있다. 법률의 관점에서 범죄 행위를 유죄로 판정하려면 범죄학적으로 책임이 있어야 한다. 다시 말하자면, 행위가 범죄 행위이고 피고가 그 행위를 저질렀음이 입증되어야 한다. 또한 범행을 저지를 당시 피고는 자기의 행위가 나쁜 일이라는 것과 법률에 위배되는 잘못된 일임을 인지하고 있어야 한다. 그렇기에 죄지은 행위와 고의를 구분하는 것이 중요하다. 정신장애가 있는 범죄자의 경우 이성적 결함으로 자신의 행위의 본질과 속성을 모를 정도일 경우 범죄의 책임이 없다는 이유로 유죄가 아닌 것으로 판명될 수 있다. 정신장애의 유형과 범죄 1. 정신질환 정신질환에는 조현병과 ..
-
특수 범죄와 심리학의 관계심리학 2024. 3. 26. 18:27
폭력, 성범죄, 방화와 같은 특수 범죄와 이를 바라보는 다양한 심리학적 이론과 증거를 살펴본다. 대인 폭력 폭력이란 신체적인 공격행위 등 불법한 방법으로 행해지는 물리적 강제력으로 살인, 강도 등의 범죄를 포함한다. 특히 가정 폭력은 심각한 문제 중 하나로 꼽힌다. 종합분석과 종단연구 결과, 폭력적인 범법자들은 일찍부터 범죄 행동을 나타내며 전 생애에 걸쳐 폭력과 공격성이 지속된다고 한다. 인지행동이론 관점에서는 폭력의 인지적 평가와 정신 내면의 과정이 어떻게 발휘되는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적대적 귀인 편향은 특히 아동 및 청소년의 공격 행동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보고 있으며 최근에는 성인기에도 동일하게 지속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공감 또한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인데, 공감 능력이 낮은 것과 폭력..
-
범죄 행위에 대한 심리학적 접근심리학 2024. 3. 25. 18:56
범죄를 이해하는 데 심리학을 포함하여 사회학, 철학, 의학, 생물학, 법학 등 많은 학문 분야가 도움을 주고 있다. 그중 심리학은 범죄를 이해하고 왜 사람들이 범죄 행위를 저지르는지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많은 이론을 제공하고 있다. 범죄의 현대적 심리이론 1. 도덕적 판단이론 도덕적 판단이란 우리가 행동의 도덕성에 대해 정당화하고 판단하는 방식을 말한다. 기브스의 이론에 따르면 개인은 발달 과정 중에 도덕적 판단의 4단계를 거친다. 1단계는 일방향적이고 구체적인 것을 중심으로 판단은 부모와 같은 강력한 권위 인물과 자신의 행동에 뒤따르는 구체적 결과에 따른다. 이 단계에서는 도덕적 판단에 대한 특정한 관점이 거의 없다. 2단계는 교환할 줄 알고 도구적 행동을 할 줄 알게 된다. 판단 시에 사회적 상..
-
법정심리학(범죄심리학) 정의와 입문심리학 2024. 3. 24. 00:20
법정심리학이란? 법정심리학은 전공자에게 하나의 전문 분야로 관심 대상이지만 최근 법정심리학 관련 드라마도 방영될 만큼 이 주제에 대한 일반 사람들의 관심 또한 상당하다. 법정심리학은 법학과 심리학의 중첩 분야로 법 시스템을 심리학적으로 접근하는 학문이다. 법정심리학은 법률과 범죄 관련하여 다양한 연구 주제를 다룬다. 심리학적 지식과 방법을 법률 절차에 적용하는 법률적 측면에서는 증거, 증언, 재판을 다룬다. 반면에 심리학적 이론과 방법을 범죄 행동을 이해하고 감소시키는데 적용하는 범죄적 측면에서는 범죄와 범죄자에 초점을 맞춰져 있다. 법률심리학과 범죄심리학 법정심리학을 심도 있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 법률심리학과 범죄심리학을 간략하게 살펴보는 것이 좋다. 법률심리학은 20세기 유럽에서 시작되었다. 법률..
-
치료감호와 감호조치 그리고 법적, 윤리적 이슈심리학 2024. 3. 20. 13:37
사회 속 심리장애 이슈 심리장애를 가진 사람들의 권리와 사회를 보호할 책임 사이에 균형을 맞출 때 정신건강 전문가들은 많은 질문들에 직면한다. 심리장애가 있는 사람들을 어떻게 다룰 것인가는 사회가 이들을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이들은 도움과 보호가 필요한가? 아니면 그들로부터 사회를 보호해야 하는가? 이러한 대중들의 견해가 바뀌면 과련 법 또한 변하게 된다. 이러한 법적, 윤리적 관점이 다시 심리장애 연구와 임상에 영향을 끼친다. 정신질환은 법적 개념으로,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정의는 개인의 건강과 안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심각한 장해가 있는 상태를 말한다. 정신질환은 심리장애와 동의어가 아니다. 심리장애를 진단받은 사람의 상태가 반드시 정신질환의 법적인 정의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의미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