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력, 성범죄, 방화와 같은 특수 범죄와 이를 바라보는 다양한 심리학적 이론과 증거를 살펴본다.
대인 폭력
폭력이란 신체적인 공격행위 등 불법한 방법으로 행해지는 물리적 강제력으로 살인, 강도 등의 범죄를 포함한다. 특히 가정 폭력은 심각한 문제 중 하나로 꼽힌다. 종합분석과 종단연구 결과, 폭력적인 범법자들은 일찍부터 범죄 행동을 나타내며 전 생애에 걸쳐 폭력과 공격성이 지속된다고 한다.
인지행동이론 관점에서는 폭력의 인지적 평가와 정신 내면의 과정이 어떻게 발휘되는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적대적 귀인 편향은 특히 아동 및 청소년의 공격 행동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보고 있으며 최근에는 성인기에도 동일하게 지속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공감 또한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인데, 공감 능력이 낮은 것과 폭력적인 범법 행위 사이에 유의미한 관련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인지 과정 중 정서적 흥분도 영향을 미치는데, 분노가 폭력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이다.
사회적 요인이 폭력적인 범죄 행위와 관련이 있다는 연구도 많다. 종단연구에서는 가족 구조와 부모의 훈육 방식이 폭력성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말한다. 또한 아동기의 심각한 학대 및 가정폭력의 목격과 폭력 사이에도 연결고리가 있음을 보여주는 연구도 있다. 이런 학대는 아동의 심리적 기능, 예를 들면 상황 대처 능력이나 문제해결 능력에 영향을 미친다고 한다.
신경심리학적 요인도 빼놓을 수 없는 주요 요인 중 하나이다. 뇌 손상이나 뇌 기능부전이 폭력과 연관이 있다는 연구가 있다. 연구 결과, 전두엽과 측두엽의 손상 그리고 기능이상이 폭력과 연관성이 가장 크다는 걸 시사하고 있다. 하지만 신경심리학적 연구는 인과관계의 불투명성, 뇌 기능이상의 기준 등 방법론적 문제를 내포하고 있어 연구 결과를 조심스럽게 해석해야 한다.
가정폭력
가정폭력은 배우자, 자녀 등 가정구성원 사이에서 나타나는 신체적, 정신적 또는 재산상 피해를 수반하는 행위를 말한다. 가부장적인 사회에서는 남성이 여성과 아동의 삶을 가족 내에서뿐만 아니라 사회제도를 통해서도 통제하려 한다는 전제로 남성은 물리적 폭력뿐만 아니라 심리적, 경제적 억압을 통해서 복종을 얻어 내는 것이라고 여겨지고 있다. 사회학습이론의 접근에서 가정폭력은 관찰 및 유사 행동의 모방을 통한 대리 보상과 학습의 결과로 본다. 또 다른 연구는 가정폭력을 학대자의 정신병리 또는 비정상적인 관계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기도 한다.
성범죄
성범죄는 성과 관련된 범죄의 통칭으로 강간, 불법 성교 행위, 성적 공격, 파렴치한 노출 그리고 아동에 대한 성추행 등이 포함된다. 성범죄는 신고율이 낮아 정확한 발생 수치를 파악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성범죄에 대한 주요 이론 중 하나는 4개 전제조건 모형이다. 이 모형에 따르면 아동 치한범이 범죄를 저지르기까지 거치는 4개의 사전 조건이 있다. 첫째는 성학대의 동기이다. 아동에게 성적으로 흥분하거나 성인에 대한 성적 표현이 막혀 있는 경우이다. 둘째는 범죄 행위에 대한 내면의 억제력을 뛰어넘는 것이다. 억제력은 아동학대에 대한 왜곡된 믿음, 알코올 또는 약물의 부작용, 심각한 스트레스 등으로 뛰어넘게 된다. 셋째는 범죄 대상 아동과 그 가족의 신뢰를 얻거나 아동이 혼자 있는 상황 등 외부 요인이 해결되어야 한다. 마지막은 아동의 저항을 극복하는 것이다. 완력을 쓰거나 아동을 잘 달래는 기법을 사용하게 된다.
4개 구성요소 모형도 앞서 살펴본 모형과 마찬가지고 성범죄가 발생하는 데 4가지 구성요소가 필요하다고 말한다. 구성요소에는 아동에 대한 성적흥분, 아동학대를 정당화하는 믿음과 태도, 자기 조절 능력의 부재 그리고 성격 문제가 있다.
세 번째 이론은 통로 모형이다. 이 모형에서는 4개의 심리적 기제가 아동 성학대와 관련이 있다고 보고 각각의 기제가 별개이지만 서로 상호작용 한다고 주장한다. 4개의 심리적 기제는 사회적 결핍, 왜곡된 성적 대본, 인지적 왜곡 그리고 정서 조절부전이다. 모든 심리적 기제가 성범죄에 관여하지만 하나의 기제가 범행으로 연결되는 각각의 통로를 지배한다.
강간에 대한 이론으로는 성적 공격성의 상호작용 모형이 있다. 이 모형에서는 성적 공격성이 적대적인 남성우월주의와 성적 난잡성의 상호작용의 결과로써 나타난다고 본다. 남성우월주의 관점에서는 공격적인 친밀관계와 성적 정복의 역할을 강조하는데, 힘의 가치, 위험 감수, 지배 욕구 그리고 경쟁 욕구를 보인다. 적대적 남성우월주의 통로에 속한 특성을 많이 가진 남성에게서 성적 난잡성이 성적 공격성으로 이어지기 쉽다고 주장한다.
Ward와 Beech의 통합이론은 생물학적, 신경심리학적, 생태학적 요인을 바탕으로 한 이론이다. 이 이론에서는 성범죄가 그런 행위를 저지르게 만드는 취약성 때문에 발생한다고 보고 있다. 이런 취약성은 유전이나 진화 과정 그리고 신경생물학적 과정이 뇌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서 비롯된다고 한다.
모든 유형의 성범죄를 설명하는 이론은 Marshall과 Barbaree의 통합이론이다. 이 이론은 생물학적, 발달적, 사회문화적 그리고 상황적 변수까지 모두 살펴본다. 학대와 같은 아동기의 부정적 경험, 사춘기의 호르몬 변화, 사회성 기술의 부족 그리고 그 밖의 사회적 요인과 정서 상태가 개인의 반사회적 행동을 유발하고 모든 요인이 성범죄를 저지르게 하는 결과를 낳는다고 말한다.
지금까지 살펴본 이론들의 공통적으로 말하는 것은 인지 왜곡, 이탈된 성적 흥분, 빈약한 정서 및 충동 조절력, 대인관계에서의 어려움 등이 혼합되어 성범죄가 발생한다는 것이다.
방화
방화는 재물에 의도적으로 불을 놓는 것을 말한다. Geller는 방화를 청소년의 불장난, 정신질환과 관련된 방화, 의학적/생물학적 장애와 관련된 방화 그리고 심리생물학적 요인과 관련 없는 방화로 구분했다. 특히 심리생물학적 요인과 관련 없는 방화를 이익을 위한 방화, 범죄 은닉을 위한 방화, 복수를 위한 방화, 인정 욕구에 의한 방화, 파괴지상주의 방화, 정치적 목적으로 인한 방화 등으로 분류했다.
성인 방화범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정신과적 장애가 있는 사람들의 의한 방화에 치중되어 있다. 방화가 정신분열증, 성격장애, 우울증, 양극성 정동장애, 기분장애 등의 정신질환과 관련이 있다는 연구들이 존재한다. 이에 반해 청소년 방화자의 경우 대다수가 남성이며 비행청소년 집단의 특징과 비슷한 점을 보인다. 또 다른 연구에서는 방화자들이 약물이나 알코올 남용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의 불장난은 부모와의 관계 문제, 갈등 및 폭력, 방임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범죄와 발달적 이론 (0) | 2024.03.29 |
---|---|
정신 장애와 범죄의 연관성 이해 (0) | 2024.03.27 |
범죄 행위에 대한 심리학적 접근 (0) | 2024.03.25 |
법정심리학(범죄심리학) 정의와 입문 (0) | 2024.03.24 |
치료감호와 감호조치 그리고 법적, 윤리적 이슈 (0) | 2024.03.20 |